5% 혹은 0.9%의 균열…다음 뉴스검색 표출 ‘기본값 변경’ 파문

[미디어 포커스] 뉴스 유통 주권 상실한 언론산업의 위기

Daum은 왜? “좌파 포털의 보수언론 죽이기” vs “尹정부의 언론장악 음모”
피해 언론사들 엇나가는 비명 속 CP막차 모 지역지 환영 기사 진풍경까지
대안으로 주목됐던 SNS도 ‘탈뉴스’중…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논의 흐지부지

investing : 더피알=김경탁 기자 | 바람 잘 날 없는 언론계에 오랜 만에 ‘포털發(발) 대소동’이 벌어졌다.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다음(Daum)이 뉴스 검색 결과 표출의 기본값을 ‘전체’(검색 제휴 언론사)에서 ‘뉴스 제휴 언론사’(다음뉴스 컨텐츠 제공 언론사, 이하 CP사)로 바꿨기 때문이다.

주식 : CP사들을주축으로 하는언론단체들은 별다른 반응 없이 관망하는 분위기인 반면 한국인터넷신문협회와 한국인터넷기자협회 등 중소언론사주축으로 운영되는 언론단체들은 “국민의 뉴스 선택권 봉쇄”·“인터넷 언론과 뉴스여론 통제 시도” 등 강한 표현을 쓰면서 반발입장을 냈다.

직접 피해를 입게 된 일부 언론사는 ‘윤석열 정부의 언론장악’과 ‘좌파 포털의 보수언론 죽이기’라는 정반대 취지의 해석을 다투듯 내놓는가하면, 지난해 CP사에 편입되면서 막차를 탄 어느지역지는 이 와중에 ‘자사 뉴스가 먼저 보인다’고 자랑하는 기사를 내보내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정부의 입김과 의향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는데, 여당인 국민의힘 측에서는 그동안 ‘가짜뉴스’ 대책을 요구했을 뿐인데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의 정책 변경이 이뤄진 것에 대해 억울함과 황당함을 드러내고 있다.

네이버 측이 비슷한 방식의 정책 변경 계획을 묻는 질문에 “검토한 바 없다”고 분명히 밝힌 것은 언론사 입장에서 그나마 위안거리다.제휴 언론사 선발을 함께 했던 지난 7년은 물론 뉴스서비스정책에 있어 꾸준히다음과 보조를 맞춰온 네이버가 비슷한 정책 변경을 할 경우 훨씬 큰 파장이 예상된다.

하지만 언론사들이 ‘뉴스 유통 주권’을 잃어버린 시대인데다, 네이버 검색제휴가 되어있지 않은 언론사가 훨씬 많은 현실을 생각하면 이번 소동은 온라인 뉴스의 유통 구조에 대한 근본적 위기의식을 언론계에 경고하는 측면도 있다.

언론사들 입장에서는 뉴스 유통과 배치를 맡은 플랫폼(소셜미디어 포함)의 정책변경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 말고 할 수 있는게 없다보니 포탈이 뉴스 검색 결과를 어떤식으로 노출·배열하는지가 중요한 관심사다.

이번 파문과 비슷한 소동은 예전에도 몇 차례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네이버가 2010년 1월 26일부터 뉴스검색 정렬을 ‘최신순’에서 ‘정확도순’으로 바꾸자 언론사들이 “도대체 ‘정확도’는 누가 정하는 거냐”며 불만을 토해냈던 일 등을 꼽을 수 있다.

2010년의 네이버나 2023년의 카카오 모두 내세운 명분은 ‘이용자 만족도’였지만, 어떤 이용자의 뭐에 대한 만족도인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은 적은 없다.

특히 ‘제휴 언론사 기사가 비제휴 언론사 기사보다 검색 소비량이 높았다’는 2023년 카카오의 설명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모회사 메타가 최근 자사 서비스에서 ‘탈뉴스’를 표방하면서 내세우고 있는 명분(이용자들이 뉴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관련기사 :[브리핑G] 페이스북에서 ‘뉴스’가 사라진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변화

이번 정책 변경은 '뉴스 서비스 차별화'라는 관점에서 해석할 수도 있다.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국내 2위 포털’로 인식돼왔지만 꾸준히 존재감을 상실해왔던 다음이 상대적으로 쾌적한(?) 뉴스 환경을 이용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는 말이다.

NHN DATA의 데이터 통합관리 솔루션 다이티(Dighty)가 지난해 마지막으로 대외에 공개한 ‘검색엔진 유입률 분석 결과’를 보면 검색엔진 평균 유입률에서 다음은 네이버와 구글에 한참 뒤처지는 3위(5.14%)에 그쳤다.

이전 결과들과 비교해보면 4분기 평균 유입률에서 2019~2022년 네이버가 68.92%에서 62.81%로 소폭 감소하는 동안 구글은 19.09%에서 31.41%로 크게 상승했다. 이 기간 다음은 2019년 9.78%, 2020년 7.57%, 2021년 6.96%, 2022년 5.14%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공개데이터는1년 전이 마지막이어서 최근 데이터를 유추해 보기 위해 모바일인덱스(IGAWorks)를 확인해봤다. 다양한 파생 앱을 빼고 대표앱(네이버, 다음)만으로2022년 10월에 비해 2023년 10월의 변화 추이를 비교해본 것이다.

다음 앱은 사용자수 점유율(앱을 설치해놓은 비중)이 18.02%에서 16.05%로, 사용시간은 5.62%에서 5.45%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같은 기간 네이버 앱도 사용자수가 86.61%에서 85.50%로, 사용시간은 39.11%에서 37.02%로 감소했다.

감소한 절대 값은 두 앱 사이에 크지 않아보일 수 있지만 모수가 압도적으로 차이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86.61에게 1.11의 변화는 1.28%에 불과하지만 18.02에서 1.97은 10.9%에 달하는 막대한 비중이기 때문이다.

두 앱의 전체 사용시간에서 뉴스 이용시간의 비중이 얼마나되는지는 공개된 자료가 없다.

다만 언론사들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정책 변경 소식을 접한 후 확인해본 더피알 홈페이지의 다음 포탈을 통한 유입 비중(최근 한 달 기준)은 모바일 0.52%와 PC 0.38%를 합쳐서 총 0.9%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대략의 상황을 가늠해볼수는 있다.

다음의 이러한 위상 추락은 모회사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을 넘어 ‘지네발 기업’이라 평가 받을 정도로 한국인들의 생활 저변에 깔리는 거의 모든 분야로 서비스를 넓히고 있는 것과는 대비되는 상황이다.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 심사를 담당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7년 만에 활동을 중단했던 올해 5월, 카카오 고위 관계자가 ‘뉴스 제휴에 있어 네이버와 뭔가를 협의하거나 함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다소 거칠어보이는발언을 내놓았던 것도 위기감이 반영된 표현으로 해석된다.

다시 ‘뉴스 생태계’의 문제

카카오가 전개하는 전체 사업에서 다음의 비중 그리고 다음을 통한 뉴스서비스의 비중이 미미해진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지점에서 다시 시선은 ‘대한민국 뉴스 생태계의 보존’ 혹은 ‘언론사들의 생존’ 문제로 향하게 된다.

'뉴스 유통'이라는 문제 자체는글로벌 이슈이지만 특히 한국에서 정말 더 심각한 이슈인 이유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언론사 웹사이트나 전용 앱을 덜 사용하는 나라(6%)라는 데 있다. 뉴스 이용자들이 언론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인터넷 신문의 숫자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아서 온라인에 실시간으로 공급되는 뉴스가 너무나도 넘쳐나는 시대가 펼쳐진지 20년 가까이 되는 사이 ‘유통’의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지만 누구도 뾰족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이 제평위 구성을 제안했던 2015년,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진흥재단 세미나 ‘인터넷 뉴스생태계의 현안과 개선방안’에서 인터넷 뉴스 생태계의 악순환이 벌어지는 구조를 도식화해보여준바 있다.

‘제한된 이용자 유량’이라는 언론사들의 상황이 △마케팅 및 서비스 전략 부실→저질 광고 그리고 △광고플랫폼 매력 상실→페이스북 유튜브 대안광고 플랫폼 강화 등 두 개의 루트를 거쳐 △제한된 수익→저품질 뉴스 서비스→낚시질 기사→‘제한된 이용자 유량’으로 되먹여진다는 것이다.

이런 악순환은 제평위가 수명을 다하고 마침내 운영 중단을 선언한 2023년 현재에도 여전히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다.

트위터(현 X)와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SNS)가 한줄기 빛처럼 대안으로 받아들여진 시기도 있지만, 글로벌 소셜미디어들 역시 한국의 포털 운영사들이 앞서 그랬던 것처럼 ‘뉴스 서비스’ 자체를 부담스러워 하면서 점차 ‘탈뉴스’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터넷 초창기에 인기를 끌었던 이메일 뉴스레터와 구독서비스가 또 다른 대안처럼 다시 떠오르기도 했지만, 한국의 뉴스 소비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뉴스레터를 이용하지 않는 순으로 3번째 자리(2%)에 위치할 정도로 뉴스레터에 관심이 없다.

이와 관련해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은 2022년 10월 ‘디지털 뉴스 유통 구조 개선 방안’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2022년 2월부터 9개월간 진행한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연구의 결과물이었다. 관련기사 :네이버 굴레 넘어설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 가능할까?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의 ‘프로토 타입’을 발표하고 논의했던 7월의 중간 세미나에서는 ‘언론사 공동 뉴스 포털’ 필요성에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이용자 유인을 통한 활성화 여부와 지속 가능성 등 ‘현실성’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회의적인 분위기였다고 한다.

2022년 11월에 열린 ‘KPF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는 책임연구자였던 오세욱 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이 “공공포털에 대해 ‘과연 될까’라는 똑같은 반응들이지만 ‘시도까지는 한번 해봐도 되지 않을까’라는 제안”이라고 발표했으나 이후 구체적인 논의는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그리고 1년 뒤인 올해 11월 9일, ‘AI와 언론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열린 KPF 저널리즘 컨퍼런스 발제에서는 ‘뉴스 유통’이라는 키워드 자체가 사라졌다.

컨퍼런스현장 취재에 나선 더피알은 종합토론에서 ‘뉴스를 만드는 사람의 입장에서만 바라보는 논의’에 대한 회의감을 지적하면서 뉴스 유통과 플랫폼의 문제에 대해 질의했다.

이날 ‘AI는 저널리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를 주제로 발표한 찰리 베켓(Charlie Beckett)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교수는 “명백히 허위이거나 유해한 콘텐츠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판단을 내리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지만 현재의 플랫폼에는 이런 투명성이 없다”면서 “오늘날 세계에서는 규제보다 플랫폼 폐쇄가 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Tag#네이버#다음#뉴스포털#소셜미디어#플랫폼저작권자 © The PR 더피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김경탁삶 속의 말과 앎을 고찰해 맘을 들여다보려합니다다른기사 보기